기준일 : 2024년 3월 기준
허가병상 | 뇌파검사실 | 응급실 | 신생아실 | 분만실 | 낮병동 | 기타 |
---|---|---|---|---|---|---|
1,157 | 2 | 48 | 10 | 3 | 34 | 4 |
허가병상 : 본관(341), 응급센터(103), 암센터(120), 노인센터(57), 어린이병원(83), 호흡기센터(109), 감염관리센터(51) 중환자실(108), 간호간병(160), 호스피스(13), 조혈모세포이식(12)
기준일 : 2024년 4월 기준
연면적 | 190,060,65(㎡) | 대지면적 | 136,626.00(㎡) |
기준일 : 2023년 전체
외래환자수 | 입원환자 | 수술건수 |
---|---|---|
952,651명 | 338,562명 | 22,417건 |
1989년 | 원무행정중심으로 전산시스템 도입 |
1991년 | 일반관리, 진료지원 일부 부서 전산화 |
1995년 | 입원환자 화면 심사 전산화 |
1998년 |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 원무행정, 진료, 진료지원, 일반관리 등 병원 전 분야의 정보과 연계된 통합시스템으로, 종이 처방전을 전산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방 및 검사결과를 전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
2003년 | HIMIS(Hospital Integrate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OCS에서 발생된 정보를 경영정보 및 의사결정 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국내 의료계 최초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BSC(균형성과기록표, Balanced Score Card), ABM(활동 원가 관리, Activity Based Management), FIN(재무관리)) 및 DW(Data Warehouse)를 도입함으로써 경영 효율성, 경쟁력 및 투명성을 확보합니다. |
2004년 |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 진단방사선, 치과방사선, 핵의학, 내시경, 심도자, 병리학, 진단검사의학과, 이비인후과 등의 의료 영상을 디지털 형태로 획득, 저장, 조회하는 시스템으로 의료의 질, 서비스, 업무능률을 향상시킵니다. |
2005년 | NAC기반 통합보안 시스템을 구축 : 정보시스템을 외부 침입으로부터 보호합니다. |
2006년 | 처방심사시스템 : 보험심사자의 심사 지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방 입력 시점에서 환자의 진료 내역이 요양급여 기준에 적정한지 판단하도록 심사자의 지식을 일정한 규칙(Rule)에 의해 관리합니다. 병용금기 처방방지, 과다 처방 방지, 처방입력 오류 방지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
2007년 | 영상EMR(Scan Electronic Medical Record) : 진료 완료된 차트를 Scanner 영상으로 변환하여 종이 차트 대신 이용하게 하여 차트 관리를 개선하고, 업무 능률 및 의료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
대기환자안내 시스템 : 진료 대기환자의 진료 순서 정보를 PC 화면으로 안내(외래진료과, 내시경실) | |
2010년 | 병동오더수행시스템 : 병동간호 업무 효율성을 위해 간호 수행 기록을 전산화 |
콜센터 업무 프로그램 : 진료예약 및 취소, 진료시간 변경, 검사예약 안내 전산화 | |
통합검사시스템(TLA : Total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진단검사의학과 화학, 면역 검사를 하나의 통합 바코드로 발행하여 환자의 채혈량은 줄이면서 검사의 결과를 신속·정확하게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 |
2011년 | 정보보안시스템 강화 : 웹방화벽, 차세대 방화벽, 홈페이지 키보드 보안 도입 |
2012년 |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
홈페이지 공공 I-PIN 구축 | |
병원 내 업무용 무선망 구축 | |
2013년 | 표준화기반 전자의무기록(EMR) 중심통합의료정보시스템(CUBIS) 구축 완료 - Mobile, RT-PACS, CIS, RFID, 전자결재, CP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강화 |
2014년 | 임상연구지원센터 및 치과장애인진료센터 증축관련 네트워크 구축, 내PC지키미 시행 및 좀비 PC 예방을 위한 DNS 싱크홀 적용으로 정보 보안 강화 |
2015년 | 문서보안시스템(DRM) 도입, 치과병원 2차 의료기관 전환 전산시스템 및 공용병상관리 전산화 |
2016년 | 규정관리시스템 및 환자확인시스템 구축, 물류 메일/문자 발주 시스템, 외래 진료비 Hi-pass 시스템, 다학제 통합진료 시스템, 가정형 호스피스 시스템 구축 |
2017년 |
|
2018년 | 의료정보과 망분리 구축, IC카드승인 서비스 시행, 마약류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인증제 시범사업 참여, 전자동 약품관리시스템(인티팜) 운영을 위해 약품정보 자동 연계 인터페이스 환경 구축, 카카오 알림톡 서비스 시행 |
2019년 |
|
2020년 |
|
2021년 |
|
2022년 |
|
2023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