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최우수상 | 외래간호 | 최적의 서비스를 실현하는 외래간호 ‘Go with you’ |
우수상 | 56병동 | 혈액종양내과 환자의 안전한 항암화학요법 관리 | |
장려상 | 31병동 | 임상실습프로토콜 개선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향상 | |
성인중환자실 | S.O.S(strengthen our skills) 부제 :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량 키우기 | ||
포스터 발표 | 우수상 | 간호교육실 | 신규간호사 환자안전문화 인식 강화를 통한 환자안전사고예방(환자안전을 향한 첫걸음!) |
참가상 | 51병동 | 환자 개인별 간호활동 일정표를 활용한 환자 만족도 향상 | |
SUB-ICU | QR patient diary 개발 및 활용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 ||
33병동 | 바른 보조기(TLSO) 적용 방법 교육 개선 활동 | ||
마취회복실 | 수술 전 자가통증조절기(PCA)의 정보 제공을 통한 환자 만족도 향상 활동 | ||
37병동 | 퇴원에 신뢰를 더하다(퇴원환자 만족도 향상 및 간호사 퇴원 업무 효율성 증진)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음압 격리환자 보호자 스마트 소통 채널 구축 | 응급전용 중환자실 | EICU 간호사 내부 마케팅을 통한 직무 만족도 향상 |
42병동 | 병동 내 격리실 운영시스템 개선을 통한 내·외부 고객만족도 향상 활동(다제내성균 중점으로) | ||
포스터 발표 | 우수상 | 신생아 집중치료실 | 안전하고 효율적인 신생아 진정 검사 업무지침 개발 |
마취회복실 | QR code book을 활용한 간호실무능력 및 업무 만족도 향상 | ||
참가상 | 간호부 | 상호존중문화 향상 활동을 통한 건강한 간호조직문화 만들기 | |
인공신장실 | 교육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수준별 간호 업무 수행 능력 향상 | ||
수술실 | 수술실 안내 동영상 제공을 통한 외부 고객 불안 감소 활동 |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간호순회 질 향상 활동 | ||
48병동 | 신규간호사 적응을 위한 간호 실무능력 향상 활동(PIANO) | ||
내과계 중환자실 | Daily Goals Worksheet를 활용한 중환자실 간호사 간의 의사소통 증진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대상 | 간호부 | 병동 입원환자의 섬망환자 프로세스 개발 및 적용 |
최우수상 | 외래간호 | 스마트 도착 확인 시스템 도입을 통한·외부 고객 만족도 향상 활동 | |
우수상 | 수술실 | 수술환자의 처치재료 처방 오류 및 삭감 방지를 위한 처방 적정 관리 | |
37병동 | MSI관리(Material, Safety management & Infection control)를 통한 병실 환경 개선 활동 | ||
NCU | 비파열성 뇌동맥류 환자의 endovascular coil embolizaion(GDC) CP개발을 통한 환자 및 의료인의 만족도 향상 | ||
장려상 | 완화의료병동 | 비대면 시대 대응을 위한 호스피스 서비스 | |
포스터 발표 | 우수상 | 외래간호 | 진료과별 맞춤형 동영상 교육자료 제공을 통한 내·외부 고객 만족도 향상 |
참가상 | 48병동 | 간호업무 개선활동을 통한 간호사 업무 만족도 향상 | |
인공신장실 | 혈액투석기계 알람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 활동 | ||
61병동 | 치료적 시술 내시경(ESD, EMR) 교육 자료 개발 및 활용을 통한 내·외부 고객 만족도 향상 | ||
72병동 | 의사소통 강화 활동을 통한 환자 안전문화 향상 | ||
42병동 | 간호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간호 실무 능력 및 업무 만족도 향상 활동 | ||
회복실 | 마취 및 회복 환자의 안전한 투약 process를 위한 실무 중심 개선 활동 | ||
56병동 | 낙상, 욕창 관리 활동으로 환자 안전 지키기 | ||
82병동 | 고관절 인공관절 수술 후 표준화된 재활운동교육을 통한 환자 및 간호사 만족도 향상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대상 | 신생아 집중치료실 | Attending process(분만 참여 과정) 업무지침개발 및 활용 |
우수상 | 수술실 | 수술 동영상 교육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수술실 신규간호사의 업무 능력 및 만족도 향상 | |
신경계 중환자실 | 다양한 학습기법을 활용한 신경계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실무능력 향상 활동 | ||
장려상 | 42병동 | 낙상 예방 활동을 통한 안전한 우리 병동 만들기 | |
48병동 | 환자안전을 위한 흉부 배액관 관리 표준화 | ||
51병동 | 청구물품 절약 활동을 통한 사용량 감소 | ||
68병동 | 직원 간 업무 효율화를 통한 내부고객만족도 향상 활동 | ||
포스터 발표 | 참가상 | 37병동 | 급성 뇌경색 환자 간호 관리 향상 활동 '만날 수 없어도 안심해요' |
46병동 | 수술 후 환자 간호 개선활동을 통한 환자 만족도 향상 | ||
81병동 | 모바일 매체를 활용한 간호사 업무 효율성 향상 활동 | ||
92병동 | 조현병 환자의 약물 복약 순응도 향상을 위한 활동 | ||
내시경실 | 내시경 스코프의 고장 감소 및 수리 비용 절감 활동 | ||
완화의료병동 | 비대면 시대 대응을 위한 호스피스 서비스 | ||
외래간호 | 진료과별 맞춤형 교육자료 제공을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 ||
응급실 | 응급실 입실 시 진료절차 설명 강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 ||
조혈모세포 이식병동 | 보호격리 환자의 비대면 의료서비스 제공 '만날 수 없어도 안심해요'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대상 | 간호부 | 환자 인수인계 방법 개선 활동 |
최우수상 | 중앙공급실 | 중앙공급실 멸균의뢰를 위한 표준화 활동 | |
우수상 | 응급실 | 응급실 입실 시 진료절차 설명 강화를 통한 고객 만족도 향상 | |
장려상 | 52병동 | 병동에서 시행되는 드레싱 처치처방에 대한 체계적 관리 | |
72병동 | 업무 프로세스 개선으로 간호사 업무 만족도 향상 및 신규간호사 사직률 감소 | ||
내과계중환자실 | 내과계중환자실의 직무만족도 증진 활동 | ||
포스터 발표 | 우수상 | 61병동 | 회진 알람 안내 메시지 전송을 통한 내·외부 고객 만족도 향상 활동 |
참가상 | 42병동 | 만성 신부전 환자의 식이 교육을 통한 치료식 이행도 향상 활동 | |
48병동 |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을 위한 개선 활동 | ||
58병동 | 고령 환자도 항암화학요법 잘할 수 있어요 | ||
68병동 | 간호서비스 디자인을 통한 입원환자 만족도 향상 | ||
81병동 | 정형외과 환자의 수술 후 재활운동 교육을 통한 운동 수행률 향상 | ||
신경계중환자실 | 신경학적 응급상황 신속 대응 프로토콜 개발 및 활용 | ||
수술실 | Sign out 정착화를 통한 수술환자 안정성 확보 | ||
분만실 | 행복한 엄마 만들기 project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대상 | 45, 46, 55, 56병동 | 입원 시 환자관리 개선을 통한 내·외부 고객만족도 향상 |
최우수상 | 52병동 | 주말 및 공휴일에 병동에서 시행되는 외래환자의 처치에 대한 체계적 관리 | |
우수상 | 간호부 | 린넨류 관리 개선 활동 | |
NCU | 신경계 중환자실 간호사의 학습조직 활성화를 통한 행복한 일터 만들기 | ||
장려상 | 내분비대사 내과외래 | 외래 내원 고객을 위한 정보 제공 개선활동 | |
포스터 발표 | 우수상 | 주사실 | 중심정맥관 관리 개선을 통한 안전보장 활동 |
참가상 | 37병동 | 일정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활동을 통한 업무 효율성 증진 및 내·외부 고객만족도 향상 | |
48병동 | 전산 인수인계를 통한 업무 효율화 및 직무만족도 향상 | ||
58병동 | 폐암 진단 전 검사 매뉴얼 개발을 통한 환자와 간호사 만족도 향상 | ||
72병동 | 개발된 표준 진료지침의 교육 강화로 진료과정의 이해도를 높이자 | ||
완화의료병동 | 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와 보호자의 면담 만족도 증진 | ||
SUB-ICU | 인공호흡기 관리 지침에 따른 간호 수행률 향상 | ||
NICU | 이른둥이 부모의 퇴원교육 프로그램 개선활동 | ||
수술실 | 수술 내시경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안전한 수술 환경 정착화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최우수상 | 71,72병동 | 병동 화재 예방활동 |
우수상 | 주사실 | 말초정맥주사 3R(Right, Rapid, Response) 적용을 통한 내·외부 고객경험 개선활동 | |
장려상 | PICU | 장애 아동의 효율적인 가정간호를 위한 보호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 |
NCU | 춤추는 혈당을 잡기 위한 신경계중환자실 혈당 관리 활동 | ||
38, 48, 58, 68병동 | 환경안전 강화 활동을 통한 직원 및 환자 안전도 향상 | ||
포스터 발표 | 참가상 | 14병동 | 감염병 발생 시 효율적 대처 |
42병동 | 격리환자 감염관리지침 수행률 향상을 위한 개선활동 | ||
인공신장실 | 긍정적인 환자경험을 통한 간호 서비스 향상 활동 | ||
내시경실 | 내시경실 scope 이력 관리 프로그램 수정·보완을 통한 효율적인 내시경 이력 관리 | ||
41병동 | 입원생활 안내 방법 개선을 통한 입원생활 안내 만족도 향상 | ||
내분비대사 내과외래 | 외래환자 안내 개선을 통한 만족도 향상 | ||
간호부 | 정확한 환자확인을 통한 안전문화 장착 | ||
완화의료병동 |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의 환자와 보호자의 정서적 지지와 심리적 만족도 향상 | ||
MICU | 환자입실 및 응급상황 업무 표준화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대상 | CCU, NCU | 중환자실 고객 경험 기반 간호서비스 디자인을 통한 간호 신뢰 및 공감도 향상 활동 |
최우수상 | 56, 14병동 완화의료병동 | 체계화된 임종간호를 통한 업무 효율성 증가 | |
장려상 | 72병동 | 검사환자 간호 업무 프로세스 개선활동 | |
내분비대사 내과외래 | 초진환자 수 증가를 위한 개선활동 | ||
포스터 발표 | 우수상 | NICU | 면회 응대 매뉴얼 작성 및 고객 만족도 향상 |
참가상 | 37병동 | 감염관리 지침에 따른 표준화 준수율 향상(CQI) | |
응급실 | 응급실 환자안전 활동 | ||
간호행정과 | 교대근무 간호사의 초과근무 시간 단축 활동 | ||
인공신장실 | 혈액투석 환자에서 Ca*P 충족률을 높이자 | ||
항암주사실 | 항암주사실 입원환자의 표준화된 입원생활 안내를 통한 만족도 향상 | ||
SUB-ICU | 응급상황 Rapid Response를 위한 도구 개발 | ||
수술실 | 안전한 수술을 위한 정확한 외과적 손소독과 올바른 손위생 수행률 향상 | ||
82병동 | 척추수술(경추, 요추) 환자의 일정 안내 및 체계적인 운동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만족도 향상 | ||
마취회복실 | 수술 전 정보제공을 통한 전신마취의 이해도 증진활동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대상 | 간호부 | 간호전달체계 개선을 통한 간호전달체계 만족도 및 간호업무 효율성 향상 |
최우수상 | NCU | SBAR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의료진 간 의사소통 개선활동 | |
장려상 | 82병동 | 정형외과 수술환자의 체계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을 통한환자 만족도 향상 | |
48병동 | 흡입기 사용 대상자의 SIMPLE DAY 만들기 | ||
92병동 | FMEA 분석기법을 적용한 자해, 폭력 감소 활동 | ||
포스터 발표 | 우수상 | 내분비대사 내과외래 | 외래환자 수 증가를 위한 개선활동 |
참가상 | BMT, 영양팀, 종양혈액내과 | 골수이식병동환자 영양서비스 증진활동 | |
37병동 | 감염관리 지침에 따른 표준화 준수율 향상 | ||
73병동 | 침습적 검사 및 시술의 표준화된 프로토콜 개발을 통한 간호 업무 효율성 향상 | ||
응급실 | 환자와 직원이 행복한 응급실 만들기(부제: 내·외부 고객만족도 향상) | ||
SUB-ICU, 38병동 | 중심정맥관 관련 중재 bundle 개선을 통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률 감소 | ||
CCU | 린 주도 간호 디자인을 통한 간호 서비스 혁신 | ||
51, 52병동 | 유방수술 환자의 다학제 간 표준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QI 활동 추진 | ||
수술실 | 확인, 확인 또 확인, 수술실 떠나기 전까지! | ||
내시경실 | 소화기 내시경 기기의 수리 비용 감소 |
발표유형 | 시상내역 | 수상부서 | 활동주제 |
---|---|---|---|
구연 발표 | 대상 | 응급실 | 퇴원환자 설명문 개발을 통한 업무 효율성 증진 및 환자 만족도 향상 |
우수상 | CCU |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특수 간호 실무에 대한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 |
81, 82병동 | 정형외과 환자의 욕창 예방 관리 Protocol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욕창 발생률 감소 활동 | ||
장려상 | 소화기외과, 52병동 | 복강경하 담낭 절제술 환자의 CP개발 및 적용 | |
인공신장실 | 혈액투석환자 투석순응도 향상 활동 | ||
포스터 발표 | 우수상 | NCU | 요로카테터 관련 감염 발생률 감소 활동 |
14, 43병동 | 요실금 수술환자 CP개발과 적용 | ||
참가상 | 63병동 | 처치수가 누락 방지를 위한 개선활동 | |
73병동 | 표준화된 상황별 간호 지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간호실무 능력 향상 활동 | ||
내시경실 | 대장내시경 장 정결 불량 감소 활동 | ||
분만실, 32병동 | 모유수유 권장 강화 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모유수유 실천율 향상 | ||
58병동 | 호흡재활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호흡기능 향상 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