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약사는 ‘전문약사제도 운영규정’ 제3조에 "치료 성과 및 환자의 건강 개선에 기여하기 위해 해당 전문 분야에 통달하고 약물요법에 관해 보다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임상약사"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약사로서 질환 전반에 대한 약물요법과 의약품에 대한 기본 지식과 정보 외에도 의약정보 제공, 임상 약동학적 지식 및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암질환, 심혈관계질환, 내분비질환 등 특정 질환에 대한 이해와 그에 대한 심층적 약물요법과 약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약사를 말합니다.
내분비, 노인, 심혈관, 감염, 정맥영양, 장기이식, 종양, 중환자
수련직무 | 연간수행건수(시간) | 비고 |
---|---|---|
조제 실무 | 30회(300시간) | 150시간-중환자 |
임상 약제 실무 | 30회(300시간) | |
팀의료 활동 | 4회(40시간) | 80시간-감염 |
60시간-정맥영양 | ||
200시간-중환자 | ||
교육 및 세미나 활동 | 교육수강 2회 이상(50시간) | |
약제부약사대상 교육 시행 2회(2시간) | ||
약학대학생 대상 전문과목 실습교육시행 8회(40시간) | ||
연구 활동 | 전문과목 학술연구 수행 및 학회 발표 1회(300시간) |